Browsing Korean translation

Don't show this notice anymore
Before translating, be sure to go through Ubuntu Translators instructions and Korean guidelines.
110 of 19 results
17.
Some other program is already using the key %s with modifiers %x as a binding
There are line breaks here. Each one represents a line break. Start a new line in the equivalent position in the translation.
몇몇 다른 프로그램에서 이미 단축키로 변경 키 %2$x와(과) 키 %1$s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다른 프로그램에서 이미 단축키로 변경 키 %2$x와(과) 키 %1$s을(를) 쓰고 있습니다
Suggested by Young-Ho Cha
Shared:
다른 프로그램에서 이미 단축키로 변경 키 %2$x와(과) 키 %1$s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uggested by Changwoo Ryu
Located in ../src/core/keybindings.c:688
70.
A font description string describing a font for window titlebars. The size from the description will only be used if the titlebar_font_size option is set to 0, however. Also, this option is disabled if the titlebar_uses_desktop_font option is set to true. By default, titlebar_font is unset, causing Metacity to fall back to the desktop font even if titlebar_uses_desktop_font is false.
창 제목 막대에 대한 글꼴 설명을 기술합니다. titlebar_font_size 옵션이 0으로 설정될 때만 기술된 크기가 적용됩니다. 또한 이 옵션은 titlebar_uses_desktop_font 옵션이 true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titlebar_uses_desktop_font가 false 이어도 바탕화면 설정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기본값으로 titlebar_font는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창 제목 막대에 대한 글꼴 설명을 기술합니다. titlebar_font_size 옵션이 0으로 설정될 때만 기술된 크기가 적용됩니다. 또한 이 옵션은 titlebar_uses_desktop_font 옵션이 true로 설정되어 있으면 쓸 수 없습니다. titlebar_uses_desktop_font가 false이어도 바탕화면 설정을 쓰도록 하기 위해, 기본값으로 titlebar_font는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Suggested by Young-Ho Cha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h:2
71.
Action on title bar double-click
제목에 두 번 클릭할 때 액션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제목에 두 번 클릭할 때 동작
Suggested by Young-Ho Cha
Shared:
제목을 두 번 누를 때 동작
Suggested by Changwoo Ryu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in.h:15
74.
Arrangement of buttons on the titlebar. The value should be a string, such as "menu:minimize,maximize,close"; the colon separates the left corner of the window from the right corner, and the button names are comma-separated. Duplicate buttons are not allowed. Unknown button names are silently ignored so that buttons can be added in future metacity versions without breaking older versions.
제목 위에 있는 단추의 배치. 이 값은 스트링으로, "menu:minimize,maximize,close"와 같이 씁니다; 콜론으로 창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을 구분하며, 각 단추는 콤마로 구분합니다. 같은 단추를 중복해서 쓸 수 없습니다. 알 수 없는 단추 이름은 그냥 무시되며 다음 버전의 메타시티에서 그 단추가 새로 생길 경우에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제목 위에 있는 단추의 배치. 이 값은 스트링으로, "menu:minimize,maximize,close"와 같이 씁니다; 콜론으로 창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을 구분하며, 각 단추는 콤마로 구분합니다. 같은 단추를 중복해서 쓸 수 없습니다. 알 수 없는 단추 이름은 그냥 무시되며 다음 버전의 메타시티에서 그 단추가 새로 생길 경우에도 문제 없이 쓸 수 있습니다.
Suggested by Young-Ho Cha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h:8
76.
Clicking a window while holding down this modifier key will move the window (left click), resize the window (middle click), or show the window menu (right click). Modifier is expressed as "<Alt>" or "<Super>" for example.
이 변경 키를 누른 채로 창을 클릭하면 창을 옮기거나 (왼쪽 클릭), 창의 크기를 바꾸거나 (가운데 클릭), 혹은 창 메뉴를 보여줍니다 (오른쪽 클릭). 변경 키는 "<Alt>" 혹은 "<Super>"와 같이 씁니다.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Shared:
이 변경 키를 누른 채로 창을 클릭하면 창을 옮기거나 (왼쪽 클릭), 창의 크기를 바꾸거나 (가운데 클릭), 혹은 창 메뉴를 보여줍니다 (오른쪽 클릭). 변경 키는 "<Alt>" 혹은 "<Super>"와 같이 씁니다.
Suggest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in.h:9
82.
Determines whether applications or the system can generate audible 'beeps';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visual bell' to allow silent 'beeps'.
프로그램 혹은 시스템에서 들을 수 있는 '삑소리'를 낼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조용한 '삑소리'를 내려면 '비주얼 벨'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프로그램 혹은 시스템에서 들을 수 있는 '삑소리'를 낼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조용한 '삑소리'를 내려면 '비주얼 벨'과 함께 쓸 수 있습니다.
Suggested by Changwoo Ryu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in.h:40
84.
Enable Visual Bell
비주얼 벨 사용하기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비주얼 벨 쓰기
Suggested by Young-Ho Cha
Shared:
비주얼 벨 사용
Suggested by Changwoo Ryu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in.h:33
88.
If true, metacity will give the user less feedback and less sense of "direct manipulation", by using wireframes, avoiding animations, or other means. This is a significant reduction in usability for many users, but may allow legacy applications and terminal servers to function when they would otherwise be impractical. However, the wireframe feature is disabled when accessibility is on to avoid weird desktop breakages.
참이면, 이른바 "직접 제어"에 대해서 제대로 지원하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을 하지 않고 와이어프레임을 쓴다든지 하는 식입니다. "직접 제어"하는 것들은 많은 사용자의 사용성을 떨어뜨리지만, 과거의 프로그램이나 터미널 서버가 동작하는 데 꼭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접근성 기능을 사용할 경우, 데스크탑이 괴상하게 망가지는 걸 막기 위해 와이어프레임 기능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참이면, 이른바 "직접 제어"에 대해서 제대로 지원하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을 하지 않고 와이어프레임을 쓴다든지 하는 식입니다. "직접 제어"하는 것들은 많은 사용자의 사용성을 떨어뜨리지만, 과거의 프로그램이나 터미널 서버가 동작하는 데 꼭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접근성 기능을 사용할 경우, 데스크탑이 괴상하게 망가지는 걸 막기 위해 와이어프레임 기능은 쓰지 않습니다.
Suggested by Young-Ho Cha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h:19
98.
Move backward between panels and the desktop immediately
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바로 옮기기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바로 옮겨가기
Suggested by Young-Ho Cha
Shared:
패널과 바탕 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바로 전환
Suggested by Changwoo Ryu
Located in ../src/include/all-keybindings.h:186
99.
Move backwards between panels and the desktop with popup
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팝업으로 옮기기
Translated and reviewed by Launchpad Translations Administrators
In upstream:
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팝업을 통해 옮겨가기
Suggested by Young-Ho Cha
Located in ../src/metacity.schemas.in.h:34
110 of 19 results

This translation is managed by Ubuntu Korean Translators, assigned by Ubuntu Translators.

You are not logged in. Please log in to work on translations.

Contributors to this translation: Changwoo Ryu, Seongho Choo, Young-Ho Cha, minwook shin.